힐스테이트용인마크밸리 집값 부담에 탈서울…하남·광명·김포 아파트 매입 증가
높은
힐스테이트용인마크밸리 집값 부담으로 서울을 떠나 경기, 인천으로 눈을 돌리는 주택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탈(脫) 서울' 수요가 유입되고 있는 경기 하남과 광명은 서울 거주자의 매입 비중이 30%대를 웃돌고 있다. 이 지역에서 아파트를 매매한 10명 중 3명은 서울 사람이라는 의미다.
1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경기 아파트 매매거래 1만9332건 중 서울 거주자의 매입 건수는 2558건으로 전체의 13.2%를 차지했다. 서울 거주자의 매입 비중은 전월(12.6%) 대비 0.6%포인트(p) 상승했다.
6월 기준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아파트를 매입한 지역은 하남시다. 하남 아파트의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은 5월 42.1%에 달했고, 6월에도 35.8%로 경기도 내 1위를 차지했다.
하남과 함께 '준강남'으로 불리는 광명시가 서울 거주자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34.9%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김포(24.2%), 의정부(20.9%), 고양(2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천도 서울 거주자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늘었다. 인천 아파트의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은 5월 6.6%에서 6월 7.4%로 0.8%p 상승했다.
인천에서는 계양구와 서구, 부평구의 서울
힐스테이트용인마크밸리 거주자 매입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6월 계양구 아파트의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은 11%를 기록했고, 서구와 부평구가 각 9.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서울 집값 상승에 대한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경기와 인천 등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실제 올해 경기와 인천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했지만, 서울은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36% 상승했다. 그러나 경기는 0.27% 하락했고, 인천 아파트값도 0.90%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탈 서울' 현상이 이어지면서 인구수도 변화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서울 총 인구수는 932만5616명으로 1년 전 보다 4만명 이상 감소했다. 서울 인구는 매년 감소하면서 2022년부터 최근까지 약 40만명이 줄었다.
반면, 경기도는 매년 3~4만명씩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1년간 약 5만명의 인구가 증가했다. 인천 인구수도 6월 기준 304만명으로, 전년 대비 3만명 정도 증가했다. 지난 2022년 295만명이었던 인천 인구는 2024년 300만명을 돌파한 이후 꾸준히 상승세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탈서울 현상은 일시적인 흐름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인구·주거 구조의 변화에 따른 것"이라며 "수도권 주요 지역으로의 인구 분산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수도권 내에서도 입지에 따른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