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에서 공공택지는 지역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며 집값도 높은 수준을 형성한다. 개발 초기만 해도 아직 공사가 진행 중이고 황량해보이는 분위기 탓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때때로 나오지만 실제 시장 흐름은 늘 같은 결론을 보여준다. 실제로 동탄2신도시와 세종시, 운정신도시 등 대한민국 대표 공공택지들의 초기 분양 사례를 살펴보면, 개발 초기에는 낮은 청약 경쟁률과 미분양 적체로 우려를 샀던 단지들이 시간이 흐른 뒤 억대의 시세차익과 치열한 청약 경쟁을 기록하며 시장을 뒤흔든 전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일례로, 동탄2신도시는 2013년 합동분양 당시 평균 청약 경쟁률이 0.8대 1에 불과했고, 미분양 물량이 3천 세대 이상 쌓이기도 했지만, 도시 조성이 마무리되자 분위기가 급반전되며 시세가 폭등했다. 당시 분양가 3억 3천만 원 수준이었던 '동탄역 센트럴 푸르지오' 전용 84㎡는 2023년 말 약 8억 1천만 원에 실거래되며 5억 원 가까운 차익을 기록했고, 같은 입지의 후속 단지인 '동탄역 더샵 센트럴시티2차'는 더 높은 분양가로 공급됐음에도 경쟁률 23대 1을 넘기는 등 시장이 완전히 반전된 흐름을 보여줬다. 세종시, 운정신도시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이처럼 한때 미분양의 늪이란 오명을 얻기도 했던 공공택지는 현재 각 지역을 대표하는 중심 생활권으로서 높은 집값을 형성하고 있다. 결국 공공택지란 ‘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오른다’는 시장의 공식 같은 존재인 셈이다.한 전문가는 “개발 초기에 저조한 분위기를 보이던 공공택지들이 각종 생활 인프라 조성이 본격화되고 광역 교통망까지 확충되면서 큰 폭으로 가치 상승이 이뤄지는 것은 전국 공공택지들의 공통적인 모습”이라며 “특히 택지 내 아파트 입주가 시작될 즈음에는 도시 활성화를 위해 취득세 등 다양한 규제 완화가 이뤄지는 경우도 많아 상승세에 가속도가 붙는 만큼 아직 초기 단계인 공공택지의 가치를 파악하고 빠르게 선점하는 안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이런 가운데 ‘평택 브레인시티수자인’이 들어서는 브레인시티가 저평가된 우량주로서 주목받고 있다. 입지, 개발 속도, 주변 산업 인프라 확장 등을 고려하면 브레인시티는 지금보다 훨씬 높은 가치를 갖게 될 것이며, 브레인시티 첫 자리에 위치한 평택 브레인시티수자인이 최대 수혜 단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특히 삼성전자가 반도체 분야의 심장으로 불리는 글로벌 인프라 총괄 조직을 동탄에서 평택으로 이전하기로 확정한 것을 비롯해 최근에는 파운드리 생산라인의 셧다운을 해제하고 가동률을 6월부터 최대치로 끌어올린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와 인접한 브레인시티의 가치가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출처 :브레인시티수자인모델하우스 |
|